안녕하세요, 푼돈헌터입니다.
오늘은 <연 수익률 10%로 투자하는 방법>을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아직 투자를 망설이시는 분들, 처음 투자를 하시는 분들, 소액 투자를 원하시는 분들에게 추천하는 방법입니다.
여러분 혹시 '사회적 경제'라는 말 들어보셨나요?
사회적경제는 양극화 해소, 일자리 창출과 같은 공동이익과 사회적 가치의 실현을 위해 사회적 경제조직이 협력과 연대를 바탕으로 수행하는 모든 경제적 활동을 의미하는 말인데요.
요즘 경제영역에서 ESG 경영이 중요한 화두로 떠오르고 있잖아요. 여기서 S가 SOCIETY 즉 사회적인 가치와 책임을 기업이 얼마나 지고 있냐는 거죠. 이게 매우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어요. '사회적경제'는 ESG 라는 말이 유행하기 전부터 사회적 가치와 책임을 위해 고민하는 영역이었습니다.
오늘 제가 소개드릴 투자방법은 방금 말씀드린 '사회적 경제'에 임팩트 투자하는 것입니다.
임팩트 투자는 2007년 록펠러재단이 개최한 행사에서 매니징디렉터인 '앤토니 벅 레빈'이 처음으로 주창한 개념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재무 수익과 함께 예측 가능한 사회문제, 환경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기업, 단체, 그리고 펀드들에 대한 투자를 말하죠.
임팩트 투자는 이미 해외에서는 대규모로 이루어지고 있다고 하는데요. 일반 투자보다 위험성은 상대적으로 낮고, 수익률은 높기 때문입니다. 해외에는 에어비앤비, 킥스타터, 탐스슈즈 등이 임팩트 투자를 통해 성장한 대표적인 기업입니다. 국내에서는 쏘카, 당근마켓, 마리몬드 등이 임팩트 투자를 통해 성장했지요.
기업은 존재하고 살아남는 이상 수익을 내고 성장합니다. 따라서 살아남는 기업에 투자할 수 있다면, 꾸준한 수익을 벌어들일 수 있는 확률이 커집니다. 지속가능성이 필요하다는 이야기죠.
영국 가디언지의 보도에 따르면 1984년부터 2014년 근 30년 동안 해외의 사회적경제기업과 일반 기업 중 가장 뛰어난 100개 기업을 비교 분석해본 결과, 일반 기업은 33% 생존률을 보인 반면 사회적경제기업은 41%의 생존률을 보였던 것으로 나타납니다.
사회적경제 분야에 투자하는 것이 긍정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는 대목이죠.
임팩트투자분야에서 선구자적인 투자자는 어큐먼펀드의 최고경영자이자 '블루 스웨터'의 작가인 '재클린 노보그라츠'입니다. 어큐먼펀드는 2001년 창립된 이래 13개국가의 102개회사에 1억1천만불을 투자했습니다. 노보그라츠는 2015년 더나은미래와의 인터뷰에서 다음과 같이 이야기했습니다.
“현지에 가보니, 전통적인 자선이나 원조로는 빈곤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없다는 게 분명했다. 돈이나 물건을 주고 마는 건 자생력을 키울 수도 없고 지속 가능하지도 않았다. 기존 자선단체 방식과 영리적인 투자, 그 둘이 결합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일회성 기부금을 주고 마는 대신, 사회적 영향력을 만들어내는 기업에 투자하고, 기업가를 키우고, 좋은 아이디어를 다듬고 퍼뜨리는 데 투자해, 궁극적으로 빈곤을 해결하는 방법을 바꾸는 게 어큐먼의 미션이다.”
어큐먼펀드는 자신들을 표현할 때 ‘인내하는 자본'(Patient capital)이라고 표현합니다. 그들은 지역사회에서 가난한 사람들을 위해 건강관리, 식수, 주택, 대체에너지 등에 해법을 만드는 창업가들에게 투자해온 전통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우리나라는 어떨까요?
한국에서도 임팩트 투자를 시행하고 있는 플랫폼은 생각보다 많은데요, 오늘 제가 소개해드릴 곳은 투자에 사회적인 의미를 더한 '국내최초 임팩트투자 오픈플랫폼 비플러스' 입니다.
비플러스는 사회적 프로젝트와 개인투자자를 연결한다는 목표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재무분석을 통해, 무조건 높거나 낮은 금리가 아닌 대출자와 투자자 모두 만족스러운 금리를 추구하고 있습니다.
저의 경우 한살림생활협동조합(이하 한살림)의 회원으로 한살림과 협업하고 있는 '아침바다'의 수매자금을 마련하기 위한 펀딩에 참여했습니다. 좋은 먹거리가 좋은 삶을 만든다는 가치가 중요하다고 생각했고, 한살림을 이용하면서 그 만족도가 높았기 때문입니다. 투자의 대가인 강방천, 존리 선생님도 좋은 경험을 한 기업을 소유하는 것이 의미있는 일이라고 했죠.
아침바다는 강원도 강릉시 주문진에 위치한 아침바다는 92년부터 현재까지 각종 젓갈과 오징어채·황태채 등의 건어물을 한살림에 공급하는 생산지입니다. 동해안 바다에서 잡은 싱싱한 물고기만 사용하고, 한살림의 이념에 맞게 화학 조미료·방부제·색소 등은 일절 사용하지 않습니다. 또한 오징어 건조 작업은 마을 주민에게 의뢰하여 일일이 손으로 찢고 말리는 전통방식으로 진행합니다.
정성들여 만든 아침바다의 수산가공품은 전국 한살림 매장을 통해 유통되고,누구나 쉽게 구매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아침바다는 소비자의 생명을 책임지고, 소비자는 생산자의 생활을 책임집니다. 그야말로 '함께 살림'하는 것이지요. 이번 펀딩에 투자하고, 아침바다와 함께 한살림 운동에 동참해보세요.
아침바다 수매자금 펀딩의 경우 5% 이자를 주는 사업이었습니다. 저는 아침바다에 100만원을 투자했고, 아침바다는 매달 꾸준하게 이자를 상환해주었고, 약1년간의 투자결과 저는 5%의 수익을 얻게 되었습니다.
최근 비플러스의 투자 수익률은 최대10%에 육박하고 있습니다. 펀딩도 빠른시간안에 달성하는 경향이 커졌죠. 그만큼 많은 사람들이 사회적경제에 투자하는 것에 의미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원금보존 및 회수가 가능하다는 것을 경험적으로 증명했기 때문입니다. 다양한 사업에 연속적으로 투자한다면 최소 '예금'과 같은 효과를 볼 수 있으면서, '예금'보다 더 높은 수익을 수취할 수 있을 겁니다.
비플러스를 통한 사회적 경제에 임팩트 투자한다는 것의 의미를 정리해보면 크게 '사회적'으로 그리고 '개인적'으로 두가지 함의를 찾아볼 수 있겠습니다.
1. (사회) 사회적 경제 활성화를 통한 건강한 사회 생태계 조성에 도움이 된다.
2. (개인) 적절한 투자를 통한 수익을 높일 수 있다.
이번 기회에 비플러스를 통해 '가치'에 투자하고 더 나은 사회를 만드는데 투자해보는 건 어떨까요?
'푼돈헌터 재태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루만 넣어놔도 이자가 붙는 파킹통장 추천 - 파킹통장 끝판왕 등장 (feat. 토스뱅크) (0) | 2022.01.18 |
---|---|
2022년 체크카드 추천 best 5 | 전월실적 조건 필요없는 무조건 할인 | 직장인 2030 재테크 카드 | Useful Debit Cards in South Korea (0) | 2022.01.15 |
전월실적 필요없는 무조건 할인되는 신용카드 best 4 (0) | 2022.01.11 |
정부에서 지원하는 고금리 군적금 '장병내일준비적금' (0) | 2022.01.07 |
7% 이자 고금리 정기적금 (0) | 2022.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