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푼돈은 정직하다! 푼돈헌터입니다
오늘은 2.21부터 가입할 수 있는 ‘청년희망적금’을 소개해드릴게요
요즘 정부 정책에서 가장 주요하게 다루어지는 영역중 하나가 바로 ‘청년’관련 정책인데요
이번 청년희망적금의 경우도 청년들을 위한 꼭 필요한 정책중 하나니
나에게 해당하는지 확인하고 꼭꼭 신청해보시길 바랄게요
자 청년희망적금에서 주요하게 보는 포인트는 두가지입니다
연령, 소득
바로 이 두가지죠.
이 두가지 요건만 갖춘다면 가입이 가능합니다
가입연령과 소득기준
먼저 가입연령을 알아볼까요?
다른 정책과 마찬가지로 만 19세이상 만34세이하 청년이 대상입니다.
소득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직전과세기간 2021년이겠죠? 총 급여액이 3,600만원 이하일 경우 가입이 가능합니다
다만 직전년도(2021년 1월~12월) 과세기간의 소득은 2022년 7월경 확정되기 때문에
‘청년희망적금 미리보기’를 통한 소득요건은 전전년도(2020년 1월~12월) 과세기간 소득을 기준으로 판단합니다
따라서 2020년 소득 기준으로는 개인소득요건을 만족하지 못하지만, 2021년 소득 기준으로는 개인소득요건을 만족하는 가입희망자는 직전년도(2021년 1월~12월) 과세기간의 소득이 확정된 이후에 가입하면 됩니다
소득 증명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가입이 불가하다는 점도 기억해주세요.
따라서 2020년 또는 2021년도에 근로소득 금액이 있어야만 가입이 가능해요
일하는 청년을 지원하겠다는 것은 좋은 일이지만 일을 준비하는 청년들을 지원하기 위한 세심한 정책적 고려가 필요하지 않을까 싶은 생각이 들어요
- 가입연령 가입일기준 만 19세이상 만34세이하 청년
- 가입소득 직전과세기간 중 총급여 3,600만원(종합소득금액 2,600만원이하)
청년희망적금의 좋은점 3가지
청년희망적금을 굳이 들어야하나? 생각하는 분들도 있을텐데요
이 적금의 좋은점이 있는데요 크게 세가지 입니다
1.연령이나 개인 소득요건만 확인하므로 직종, 대기업, 종소기업여부 등의 제한은 없음
다른 청년지원 사업들은 중소기업에 다닌다거나, 중소기업내에서도 특정 직종만 가능하다거나 하는 등의 제한사항이 있는데 이 적금은 그렇지가 않고요
2.한번 가입하고 소득이 늘어나도 중도 취소되지 않음
어떤 지원사업은 중도에 소득이 증가하면 가입이 중단되거나 토해내야 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 정책은 그렇지가 않더라구요
3.다른 부처나 지자체 운영 청년 프로그램에 참여해도 중복가입이 가능
(EX 청년내일채움공제, 내일저축계좌,청약통장 등 가입했어도 추가 가입가능)
역시 타 지원사업은 중복지원이 불가능하게 설정되어 있는데
이 사업은 중복가입도 가능해서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게 설정이 되었습니다
가입가능여부 확인 방법 (청년희망적금 미리보기)
이번에는 가입가능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을 소개해드릴게요.
2.9부터 2.18 중 평일 10시부터 22시까지 해당은행 어플리케이션에 접속해서 <청년희망적금 미리보기>를 선택하면 가입여부 확인이 가능합니다
청년희망적금 미리보기 선택을 하면 확인 후 2~3일 이내 가입가능여부를 문자메시지로 안내받을 수 있어요
그러면 본 가입기간인 2.21(월)부터 가입이 가능하죠
자신이 주거래하지 않는 은행에서도 가입이 가능하지만, 해당은행 통틀어 1개 은행에서 1개 계좌만 발급가능하다는 점 기억해주세요
또한 가입 첫주에는 태어난 연도별 5부제 가입으로 제한한다고 하니 내가 신청가능한 날짜를 미리 확인해보면 좋겠죠?
- 2월 21일 (월): 1991년, 1996년, 2001년
- 2월 22일 (화): 1987년, 1992년, 1997년, 2002년
- 2월 23일 (수): 1988년, 1993년, 1998년, 2003년
- 2월 24일 (목): 1989년, 1994년, 1999년
- 2월 25일 (금): 1990년, 1995년, 2000년
납입금액과 납입기간 그리고 이자율
납입금액은 매월 50만원 내에 자유롭게 납입하는 자유적금입니다
납입기간은 2년 만기이고요
2년 만기하면 시중은행 금리에 저축장려금을 추가로 지원한다고 해요
저축장려금은 1년차 납입액의 2%, 2년차 납입액의 4%를 지원하고요
이자소득은 비과세 처리가 됩니다
- 매월 50만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
- 만기 2년까지 납입하면 시중이자+저축장려금 추가 지원
- 저축장려금은 1년차 납입액의 2%, 2년차 납입액의 4%만큼 지원
- 이자소득에 대한 과세X(이자소득세, 농어촌특별세)
여기서 꿀팁!
어느 은행을 선택할 건지에 관한건데요
시중은행의 금리는 5%로 동일하지만 은행별로 우대금리를 다르게 주고 있어요
은행별로 우대금리가 0.5~1.0%포인트씩 차이가 나요
2월 현재를 기준으로 우대금리까지 포함하면 KB국민은행이 최고 금리가 연 6.0%(우대금리 포함)로 가장 높고
기업은행은 최고 금리가 연 5.9%로 두번째로 높습니다다
그 뒤를 신한·하나·우리은행(연 5.7%), NH농협·대구·부산·제주은행(연 5.5%) 등의 순입니다
은행 금리에 최대 4%의 정부 저축장려금과 이자 소득에 대한 비과세 혜택 등을 감안하면 만기 시 실제 이자율은 KB국민은행의 경우 10.49%로 가장 높습니다. 하지만 개별로 우대조건을 받을 수 있을지가 다르기 땜에 자기에게 맞는 것을 찾는 것이 필요할 거 같아요
'푼돈헌터 재태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퇴사 후 알게 된 것들| 퇴사 후의 삶 | 퇴사, 도전, 취업, 창업 | (0) | 2022.02.21 |
---|---|
대학생 체크카드 추천 best 5 (0) | 2022.02.16 |
누구나 전기요금 할인받는 4가지 방법 (전기세, 전기료, tv수신료) (1) | 2022.02.04 |
연말정산 때 최대 90%감면! 중소기업 청년 소득세 감면 알고 계세요? (0) | 2022.02.03 |
운동도하고 3만원 받아가세요! (feat.1타3만 체육쿠폰) (0) | 2022.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