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실생활에 도움이되는 다양한 정보로 선한 영향력을 나누고 싶은 푼돈헌터입니다
오늘은 청년 여러분들에게 도움이 되는 정보를 가지고 왔는데요
자산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돕는 정부 지원 정책과 창업 지원 정책 총 6가지를 소개해드릴게요
오늘 그 1부로 청년내일저축계좌, 청년희망적금, 청년형소득공제장기펀드
이 세가지 지원 정책을 소개해드릴게요.
1.청년 내일저축계좌
첫번째 정책은 청년 내일저축계좌입니다
지원대상은 연령, 소득, 재산요건을 충족한 청년을 대상으로 하고 있습니다.
- 청년내일저축계좌 가입요건
여기서 첫번째 연령은 만19세~34세 이하의 청년입니다.
다만, 중위소득 50%이하 수급자 또는 차상위계층의 경우 15세부터 39세까지로 포괄적으로 지원합니다.
두번째 소득기준은 가구소득 중위소득 100% 이하에
추가로 근로·사업소득 600만원 초과~2,400만원 이하라는 조건이 있습니다.
일을 하는 청년들에게 지원하겠다는 의미겠죠?
단, 수급자·차상위 지원을 받은 분들은 연간 근로·사업소득 기준이 면제 됩니다.
세번째 재산요건은 대도시 3.5억원, 중소도시 2억원, 농어촌 1.7억원 이하에 해당합니다.
- 청년내일저축계좌 정부 지원금액, 납입한도, 가입기간
청년 내일저축계좌는 월 10만원 이상 최대 3년간 저축할 경우
정부 정액매칭으로 월10만원을 매칭해 지원금을 줍니다.
즉, 3년간 연 120만원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차상위계층에게는 월 30만원 씩 연간 360만원을 지원해준다고 해요)
(예시)
3년 만기 기준으로 보면 월 10만원씩 3년을 넣었을때,
본인저축액(최소 360만원) + 정부지원금 360만원(차상위계층 이하: 1,080만원)
총 720만원을 수령할 수 있습니다.
물론 여기서 이자는 별도로 발생합니다.
2.청년희망적금
두번째 정책은 청년희망적금입니다.
지원대상은 연령요건과 개인소득요건을 충족한 청년입니다.
- 청년희망적금 가입요건
연령은 만 19~34세 청년(병역이행기간 최대 6년 추가 인정해줍니다)입니다.
개인소득은 총급여 3,600만원 종합소득금액 2,600만원 이하입니다.
- 청년희망적금 정부지원금액, 납입한도, 가입기간
청년희망적금은 월 50만원씩 안에서 2년 동안 자유롭게 납입하는 만기 자유적립식 적금입니다.
만기까지 납입시 저축장려금을 주고 이자소득을 비과세 지원합니다.
그래서 만기 2년 후에 원금과 은행이자 그리고 저축장려금까지 3종으로 챙길 수 있는 쏠쏠한 적금입니다.
- 저축장려금은 1년차 납입액의 2%, 2년차 납입액의 4%을 지원하는데요.
자세한 내용은 지난 영상에서 참고해주세요
3.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세번째 정책은 청년형소득공제장기펀드 입니다.
청년형소득공제장기펀드는 소득공제로 인한 절세측면에서 유리한 정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연령요건과 개인소득요건을 충족한 청년에게 지원되는 데요
-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가입요건
여기서 연령은 만 19~34세 청년(병역이행기간 최대 6년 추가 인정)이고,
개인소득은 총급여 5,000만원(종합소득금액 3,800만원) 이하인 분들이 지원대상입니다.
-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가입기간, 납입한도
청년형소득공제장기펀드는 3년에서 5년까지 계약하여 납입할 수 있는데요
연간 납입한도는 600만원입니다.
펀드 납입금액의 40%를 소득공제해준다는 점에서 쏠쏠한 정책입니다.
그래서 600만원을 납입했을 때 최대 240만원을 소득공제 받을 수 있습니다.
만기시에는 본인이 납입한 금액과 펀드 운용 수익을 받을 수 있고요
예를들어 3년 납입했을 때는 1,800만원+펀드운용수익
5년 납입했을 때는 3,00만원+펀드운용수익 을 받을 수 있습니다.
따로 지원금이 나오는 것은 아니지만
내가 납입한 금액의 40%를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절세 측면에서 유리한 정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푼돈헌터 재태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퇴사 후 알게 된 것들| 퇴사 후의 삶 | 퇴사, 도전, 취업, 창업 | (0) | 2022.02.21 |
---|---|
대학생 체크카드 추천 best 5 (0) | 2022.02.16 |
청년희망적금 완벽정리 (가입 연령, 소득, 방법, 은행선택) (0) | 2022.02.14 |
누구나 전기요금 할인받는 4가지 방법 (전기세, 전기료, tv수신료) (1) | 2022.02.04 |
연말정산 때 최대 90%감면! 중소기업 청년 소득세 감면 알고 계세요? (0) | 2022.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