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푼돈헌터 재태크

2030 청년이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정부지원 금융 지원 6가지 - 1부 (청년내일저축계좌, 청년희망적금, 청년형소득공제장기펀드)

반응형

 

안녕하세요,

실생활에 도움이되는 다양한 정보로 선한 영향력을 나누고 싶은 푼돈헌터입니다

 

오늘은 청년 여러분들에게 도움이 되는 정보를 가지고 왔는데요

자산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돕는 정부 지원 정책과 창업 지원 정책 총 6가지를 소개해드릴게요

 

오늘 그 1부로 청년내일저축계좌, 청년희망적금, 청년형소득공제장기펀드 

이 세가지 지원 정책을 소개해드릴게요.

 

1.청년 내일저축계좌

첫번째 정책은 청년 내일저축계좌입니다

 

지원대상은 연령, 소득, 재산요건을 충족한 청년을 대상으로 하고 있습니다.

 

  • 청년내일저축계좌 가입요건

여기서 첫번째 연령은 만19세~34세 이하의 청년입니다.

다만, 중위소득 50%이하 수급자 또는 차상위계층의 경우 15세부터 39세까지로 포괄적으로 지원합니다.

 

두번째 소득기준은 가구소득 중위소득 100% 이하에

추가로 근로·사업소득 600만원 초과~2,400만원 이하라는 조건이 있습니다.

일을 하는 청년들에게 지원하겠다는 의미겠죠?

단, 수급자·차상위 지원을 받은 분들은 연간 근로·사업소득 기준이 면제 됩니다.

 

세번째 재산요건은 대도시 3.5억원, 중소도시 2억원, 농어촌 1.7억원 이하에 해당합니다.

 

 

  • 청년내일저축계좌 정부 지원금액, 납입한도, 가입기간

청년 내일저축계좌는 월 10만원 이상 최대 3년간 저축할 경우

정부 정액매칭으로 월10만원을 매칭해 지원금을 줍니다.

 

즉, 3년간 연 120만원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차상위계층에게는 월 30만원 씩 연간 360만원을 지원해준다고 해요)

(예시)
3년 만기 기준으로 보면 월 10만원씩 3년을 넣었을때,
본인저축액(최소 360만원) + 정부지원금 360만원(차상위계층 이하: 1,080만원)

총 720만원을 수령할 수 있습니다.
물론 여기서 이자는 별도로 발생합니다.

 

2.청년희망적금

두번째 정책은 청년희망적금입니다.

지원대상은 연령요건과 개인소득요건을 충족한 청년입니다.

 

  • 청년희망적금 가입요건

연령은 만 19~34세 청년(병역이행기간 최대 6년 추가 인정해줍니다)입니다.

개인소득은 총급여 3,600만원 종합소득금액 2,600만원 이하입니다.

 

  • 청년희망적금 정부지원금액, 납입한도, 가입기간

청년희망적금은 월 50만원씩 안에서 2년 동안 자유롭게 납입하는 만기 자유적립식 적금입니다.

만기까지 납입시 저축장려금을 주고 이자소득을 비과세 지원합니다.

그래서 만기 2년 후에 원금과 은행이자 그리고 저축장려금까지 3종으로 챙길 수 있는 쏠쏠한 적금입니다.

  • 저축장려금은 1년차 납입액의 2%, 2년차 납입액의 4%을 지원하는데요.

자세한 내용은 지난 영상에서 참고해주세요

 

 

 

3.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세번째 정책은 청년형소득공제장기펀드 입니다.

청년형소득공제장기펀드는 소득공제로 인한 절세측면에서 유리한 정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연령요건과 개인소득요건을 충족한 청년에게 지원되는 데요

  •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가입요건

여기서 연령은 만 19~34세 청년(병역이행기간 최대 6년 추가 인정)이고,

개인소득은 총급여 5,000만원(종합소득금액 3,800만원) 이하인 분들이 지원대상입니다.

 

 

  •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가입기간, 납입한도

청년형소득공제장기펀드는 3년에서 5년까지 계약하여 납입할 수 있는데요

연간 납입한도는 600만원입니다.

펀드 납입금액의 40%를 소득공제해준다는 점에서 쏠쏠한 정책입니다.

그래서 600만원을 납입했을 때 최대 240만원을 소득공제 받을 수 있습니다.

 

만기시에는 본인이 납입한 금액과 펀드 운용 수익을 받을 수 있고요

예를들어 3년 납입했을 때는 1,800만원+펀드운용수익

5년 납입했을 때는 3,00만원+펀드운용수익 을 받을 수 있습니다.

 

따로 지원금이 나오는 것은 아니지만

내가 납입한 금액의 40%를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절세 측면에서 유리한 정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